Ludwig van Beethoven - Piano Sonata No. 30 in E major, Op. 109


“마지막 시기의 작품들은 내면적인 요구로 흐름이 만들어졌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의 첫 전기를 쓴 요한 알로이스 슐로서(Johann Aloys Schlosser)는 후기 작품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이렇게 설명했다. 그를 괴롭히는 귓병은 40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악화되었으며, 1818년에는 보청기도 소용없을 정도로 들리지 않아 필답으로만 소통할 수 있었다.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없었던 그는, 자신의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그리고 그 소리는 음악으로 기록되었다.

오늘 연주되는 베토벤의 <피아노 30번>(1820)은 이 시기의 작품이다. 1820년 여름에 뫼들링(Mödling)에 머물렀을 때 많은 부분이 작곡되었고, 빈으로 돌아와 마무리했다. 그리고 이듬해 11월에 슐레징거에서 출판되었는데, 베토벤의 건강이 좋지 않아 검토하지 못하는 바람에 오류가 많았다.

이 곡은 마치 고단했던 지난날들을 돌아보며 자신을 위로하는 것 같기도 하고, 인생의 덧없을 깨닫고 고귀한 정신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작곡하게 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곡을 헌정받은 막시밀리아네 브렌타노(Maximiliane Brentano)를 연결 지어보면 어떨까? 10세 즈음부터 베토벤에게 피아노를 배웠던 그녀는 당시 18세로, ‘불멸의 연인’의 한 사람이라고 추측하고 있는 안토니 브렌타노(Antonie Brentano)의 딸이었으며, 역시 ‘불멸의 연인’의 후보이자 베토벤을 괴테에게 소개해 준 작가 베티나 폰 아르님(Bettina von Arnim)의 조카였다. 베토벤은 막시밀리아네를 매우 예뻐하면서도, 그녀를 보면서 옛사랑의 애틋함을 추억하지 않았을까.

1악장 ‘생기있게 빠르게, 지나치지 않게-매우 느리게, 표현적으로’(Vivace ma non troppo – Adagio espressivo): 소나타 형식. 곡의 시작과 함께 왼손과 오른손이 재잘거리듯 짧게 대화하는 빠른 제1주제가 제시된다. 그리고 곧바로 사랑을 속삭이듯 감미로우면서 자유로운 제2주제가 이어진다. 이렇게 짧은 제시부가 끝나고, 발전부는 제1주제만으로 진행하며, 그리고 제1주제가 재등장하며 재현부로 진입한다. 짧은 코다로 마무리한 후, 쉼 없이 다음 악장을 연주한다.

2악장 ‘극도로 빠르게’(Prestissimo): 스케르초 형식. 다급히 달려가는 듯 추진력 있는 첫 주제가 분위기를 압도한다. 조용하지만 여전히 긴장을 잔뜩 머금은 선율이 잠깐 등장한다. 슈베르트의 <현악사중주 ‘죽음과 소녀’> 1악장에서도 비슷한 선율이 사용되었다. 다시 첫 주제가 재현되고, 마지막에 양손이 강렬한 화음을 연주하며 벌어지면서 마친다.

3악장 ‘매우 느리게, 노래하듯이 그리고 표현적으로’(Andante molto cantabile ed espressivo): 이 악장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앞의 두 악장은 이 악장을 위한 전주곡과 간주곡으로 보인다. 그리고 상세한 지시어에서, 베토벤이 이 악장을 통해 말하고 싶은 것이 들어있음을 느끼게 한다. 가만히 선율에 귀를 기울이면, 가사가 없더라도 그 안에 담겨 있는 베토벤의 삶과 사랑 이야기가 들려오는 듯하다. 주제 제시 후 이어지는 여섯 개의 변주들은 템포와 리듬을 바꿔가며 다양한 표정을 지어 보이는데, 다섯 번째 변주에 푸가를 넣어 서정적인 흐름에서 잠시 벗어난다. 그에게는 아직 풀지 못한 과거의 굴레가 남아있었던 것 같다. 마지막에 다시 주제를 재현하고 조용히 사라지듯 마친다.

글 | 송주호 (음악평론가)

<aside> 👈 이전 곡 해설로 가기 : 클로드 드뷔시 - 전주곡 제1권 [Click!]

</aside>

<aside> 👈 다음 곡 해설로 가기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네 개의 연습곡, Op.2

</aside>

<aside> 📘 이전으로 가기

</aside>

<aside> 🏡 홈으로 가기

</aside>

👉 2021 서울국제음악제 전체일정 보기

사이트 맵 |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