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annes Brahms(1833~1897) - String Sextet No.2 in G major, Op.36

19세기 중반을 지나 표준 프로그램과 대중음악회의 확산으로 청중들이 옛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작곡가들은 청중에게 무엇으로 어떻게 어필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이는 베토벤의 유산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를 두고 양분된 두 세력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리스트 바그너 등은 음악극과 교향시 등 새로운 장르에서 자신의 길을 찾은 반면, 브람스는 베토벤을 심화・발전시키는 고전주의적 토대에서 새로움을 모색하는 방향을 취하였다. 브람스는 고전기법을 자신의 음악어법으로 재창조하여 작품의 밀도를 높이는 한편 자신의 개성과 정서를 두터운 화성을 사용하여 깊이를 더하여 완성도 높은 실내악 작품을 썼다.

브람스는 <현악6중주 제1번>을 쓰고 약 5년 후에 이 작품을 작곡했다. 5년 사이에 쓴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이다. 브람스만의 중후장대한 관현악곡이 아직 완벽하게 성숙하지는 않았지만, 첫 번째 피아노 협주곡은 그 원형을 제시하였다. 다정다감한 첫 번째 현악6중주에 비하면 오늘 연주될 두 번째 현악6중주곡은 선율적 아름다움을 잃지 않으면서도 30대 초반을 지난 브람스가 브람스적인 체념과 멜랑콜리의 정서를 현악6중주라는 풍성하고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앙상블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대위법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자재로 활용한 작품이기도 하다. 음악학자 토베이는 이 작품을 ‘천상의 음악’이라 하였다.

브람스적인 풍성함은 소나타 형식의 1악장부터 음악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조용하지만 불안하게 중얼거리는 듯한 반음을 오가는 비올라 위에서 바이올린이 제1주제를 제시하고 왈츠처럼 매력적인 제2주제는 사랑스럽고 우아하게 나타나 발전부의 대위법적 전개로 확장된다. 여담으로, 1악장 선율의 음을 따서 독일어로 표현하면 ‘AGAHE’가 되는데, 이것이 브람스가 젊을 때 구애하다가 이루어지지 않은 여성인 아가테(Agathe)를 나타낸다고도 한다.

브람스는 스케르초를 두 번째 악장에 놓고 정교한 대위법과 리드미컬한 기법을 활용한다. 2악장에서도 브람스는 대위법의 대가로서의 강점을 살려 탁월한 대위법으로 음악적 텍스처을 풍부하게 한다.

브람스는 이 작품 전반에서 새로운 대위법적 긴장을 집중시키지만, 3악장에서는 변주 형식의 독특한 기법을 사용한다. 주제와 다섯 개의 변주로 구성된 3악장은 기법을 위한 기법에 머물지 않고 표현성을 확대・강화한다. 3악장에서 들을 수 있는 현악기의 울림은 브람스가 작곡 당시 자신의 생물학적 나이를 초월한 영적으로 앞서간 선지자임을 웅변한다.

4악장은 아다지오 3악장과 빠르기에서 완벽한 대조를 보이며 멘델스존 풍의 경쾌함과 밝음,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 발전부에 푸가가 나타남에도 현학적이기보다는 가벼움 속에서도 지평을 넓힌다는 인상을 주며 행복하며 밝고 당당한 젊은 브람스를 떠올리게 한다.

글 | 김인겸 (음악칼럼니스트)


<aside> 👈 이전 곡 해설로 가기 : 남상봉 - 기묘한 놀이공원 (위촉초연)

</aside>

<aside> 📘 이전으로 가기

</aside>

<aside> 🏡 홈으로 가기

</aside>

👉 2021 서울국제음악제 전체일정 보기

사이트 맵 | Site Map